1991(트리 순회)

2023. 3. 10. 22:03·Baekjoon/트리

난이도: 실버 1

https://www.acmicpc.net/problem/1991

 

1991번: 트리 순회

첫째 줄에는 이진 트리의 노드의 개수 N(1 ≤ N ≤ 26)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노드와 그의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가 주어진다.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례대로 알파

www.acmicpc.net

 

문제

이진 트리를 입력받아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중위 순회(inorder traversal),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이진 트리가 입력되면,

  • 전위 순회한 결과 : ABDCEFG // (루트)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 중위 순회한 결과 : DBAECFG // (왼쪽 자식) (루트) (오른쪽 자식)
  • 후위 순회한 결과 : DBEGFCA //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루트)

가 된다.

입력

첫째 줄에는 이진 트리의 노드의 개수 N(1 ≤ N ≤ 26)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노드와 그의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가 주어진다.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례대로 알파벳 대문자로 매겨지며, 항상 A가 루트 노드가 된다. 자식 노드가 없는 경우에는 .으로 표현한다.

출력

첫째 줄에 전위 순회, 둘째 줄에 중위 순회, 셋째 줄에 후위 순회한 결과를 출력한다. 각 줄에 N개의 알파벳을 공백 없이 출력하면 된다.

 

 

풀이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struct Node {
	char data;
	Node* left;
	Node* right;

	Node(char data1) : data(data1), left(NULL), right(NULL) {}
};

class Tree {
public:
	Node* root;

	Tree() : root(NULL) {}

	// 삽입 과정
	void Insert(char parentData, char leftData, char rightData) 
	{
		if (!root)
			root = new Node(parentData);

		Node* parent = Find(root, parentData);

		// 자식 노드 삽입
		if (leftData != '.')		// 빈 노드가 아니라면
			parent->left = new Node(leftData);

		if (rightData != '.')
			parent->right = new Node(rightData);
	}

	// 탐색 과정
	Node* Find(Node* root, char data)
	{
		if (!root)
			return NULL;

		if (root->data == data)
			return root;

		Node* left = Find(root->left, data);
		if (left)
			return left;

		return Find(root->right, data);
	}

	// 전위 순회
	void PreOrder(Node* node)
	{
		if (!node)
			return;

		// Root -> Left -> Right
		cout << node->data;
		PreOrder(node->left);
		PreOrder(node->right);
	}

	// 중위 순회
	void InOrder(Node* node)
	{
		if (!node)
			return;

		// Left -> Root -> Right
		InOrder(node->left);
		cout << node->data;
		InOrder(node->right);
	}

	// 후위 순회
	void PostOrder(Node* node)
	{
		if (!node)
			return;

		// Left -> Right -> Root
		PostOrder(node->left);
		PostOrder(node->right);
		cout << node->data;
	}
};

int main()
{
	int N;
	cin >> N;

	Tree tree;

	for (int i = 0; i < N; i++)
	{
		char p, l, r;
		cin >> p >> l >> r;
		tree.Insert(p, l, r);
	}

	tree.PreOrder(tree.root);
	cout << "\n";
	tree.InOrder(tree.root);
	cout << "\n";
	tree.PostOrder(tree.root);
}

'Baekjoon > 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372(상근이의 여행)  (0) 2023.04.07
5639(이진 탐색 트리)  (0) 2023.03.23
1068(트리)  (0) 2023.03.14
1167(트리의 지름)  (1) 2023.03.12
1967(트리의 지름)  (0) 2023.03.10
'Baekjoon/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5639(이진 탐색 트리)
  • 1068(트리)
  • 1167(트리의 지름)
  • 1967(트리의 지름)
KimMK
KimMK
  • KimMK
    KimMK
    KimMK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Unreal
      • Git
      • C++
        • 디자인 패턴
        • STL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Portfolio
        • Unreal C
        • Unreal BP
      • Baekjoon
        • 분할정복
        • BFS(너비우선탐색)
        • DFS(깊이우선탐색)
        • 탐욕(Greedy)
        • 동적계획법(DP)
        • 기하학
        • 백트래킹
        • 트리
        • 구현
      • Portfolio 개발 진행중
        • 개발 진행 중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분포 기반 정렬 알고리즘
    BFS
    언리얼 프로퍼티 시스템
    Factory method pattern
    Queue
    Abstract Factory pattern
    경량 패턴
    C++ STL 정리
    리플렉션
    Trie
    command pattern
    깊이 우선 탐색
    flyweight pattern
    명령패턴
    두 직선사이 교점
    object channel
    유니온-파인드
    트리
    동적 계획법
    관찰자(Observer) 패턴
    Unreal Collision
    Set
    Union-Find
    스택
    자료구조
    생성패턴
    unreal insight
    디자인패턴
    비교 기반 정렬 알고리즘
    트리순회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4
KimMK
1991(트리 순회)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